2010/06/11

실패하는프로젝트의7가지습관(대한민국개발자희망보고서, 오병곤지음)

1.사람이 무시된다.

2.과제 계획 추정이 모호하고 비현실적이다.
– 규모 산정이 생명주기 초기에 발생하거나 미리 확보된 예산에 맞추는 경우

3.요구사항이 불안정하다.
- 요구사항은 변경될 수 있지만 단계가 진행될 수록 줄어드는 것이 정상
- 납기 지연과 과제 취소원인의 대부분이 요구사항 관리 미흡에서 발생

4.계획수립이 엉성하다.
- sw개발은 80%이상이 지적인 작업이다.
- 프로젝트 관리자의 대부분이 개발자 출신으로 관리에 대한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함
- 프로젝트 상류에서 생기는 결함을 하류에서 정정하는 것은 상류에서 정정하는 노력의 50-200배 정도의 비용이 소요

5.프로젝트 진행상황을 파악하지 못한다.
- 정기적인 추적 활동이 없기 때문

6.위험을 관리하는 활동이 없다.
- 프로젝트는 본질적으로 위험하다.
- 위험 요소 식별과 적절한 예방 활동이 필요: 현재의 위험에만 매달리는 것이 위험

7.품질 보증 활동이 없다.
- 테스트전에 품질보증 활동(결함제거활동: 검토와 검사, 테크니칼 리뷰, 테스트 등)이 전제
- 테스트만을 품질보증 활동으로인식

0 comments:

댓글 쓰기